최근 IT 업계는 마치 새로운 먹거리라도 찾은 것 마냥 스마트시계에 달려들고 있다. 삼성전자와 소니, 퀄컴이 이미 제품을 내놨다. 다른 업체도 줄줄이 스마트시계 출시 날짜를 꼽는 중이다. 하지만 스마트시계를 보는 사용자는 아직 마음을 열지 않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스포츠의류용품 업체 아디다스가 스마트시계를 내놨다. 스포츠 전문업체인 만큼 운동 목적에 충실한 제품이다. 아디다스가 스마트시계를 발표하기 하루 전에는 나이키도 두 번째 스마트시계를 내놨다. 나이키는 이미 2012년 첫 번째 제품으로 스마트시계의 성공 가능성을 타진한 바 있다. 나이키와 아디다스에는 있는데 삼성전자와 소니에는 없는 것은 무엇일까. ‘없는 것’을 따져볼 때가 아니다. 스마트시계, 버려야 산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아디다스 ‘스마트 런’
운동에 초점 맞춘 아디다스·나이키
스포츠의류용품 업체 아디다스가 미국 현지시각으로 10월16일 스마트시계 ‘스마트런’을 발표했다. 스마트런은 언뜻 보면 1.45인치 크기의 화면이 달린 손목시계처럼 보이지만, 평범한 손목시계는 아니다. 달리기를 할 때 달린 거리를 재 주고, 어떤 길로 달려왔는지 기록해 준다. 어떻게 운동을 해야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도 알려준다. 손목에 차는 개인 트레이너다. 심장 박동을 감지하는 기능은 또 어떻고. 매일 아침 건강을 위해 공원을 달리는 이들이 쓰면 유용한 시계다.
폴 가우디오 아디다스 인터랙티브 총괄 부사장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현지시각으로 10월16일 열린 기가옴 모빌라이즈 컨퍼런스에 참석해 스마트런을 발표했다. 스마트런은 시계에 내장된 GPS로 달리는 속도와 거리, 움직인 경로를 기록해 준다. 손목에 차면 사용자의 심장 박동수도 감지한다. 심장박동을 잴 수 있는 센서가 탑재된 덕분이다.
시계 화면을 봐도 운동 정보를 알 수 있지만, 음성 기능도 내장돼 있다. 스마트런은 사용자의 운동 기록과 심장박동을 바탕으로 운동 방법을 알려준다. 긴 거리를 달리는 마라톤 모드와 함께 쓰면 좋다. 옆에서 마라톤 전문가가 해주는 조언을 들으며 페이스를 조절할 수 있다는 얘기다.
스마트런에는 음악 재생 기능도 내장돼 있다. 음성 도움이 필요 없는 사용자는 음악으로 지루한 길을 즐겁게 달리면 된다. 음성 도우미와 음악 기능을 쓰려면 이어폰 선을 꽂아야 하지 않을까. 스마트런에는 블루투스 기능이 들어가 있으니 블루투스로 연결할 수 있는 무선 이어폰만 있으면 된다.
단, 스마트런은 스마트폰과 연결해 쓰는 기기가 아니다. 물론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앱)과도 연결할 수 없다. 스마트폰에 있는 음악도 들을 수 없으니 음악을 듣고 싶은 사용자는 시계 속에 음악을 넣어야 한다. 가격은 399달러, 우리돈으로 42만원 정도다. 아디다스는 11월1일부터 스마트런을 판매할 계획이다.
아디다스가 스마트런을 발표하기 하루 전 나이키는 ‘퓨얼밴드SE’를 발표했다. 2012년 나온 ‘퓨얼밴드’의 두 번째 버전이다. 퓨얼밴드SE도 스마트런과 비슷한 기능을 제공한다.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기록해주고, 소비한 열량을 알려주기도 한다. 시계 기능은 있지만, 전자시계처럼 화면이 달려 있는 것은 아니다.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앱)과 연동해 써야 한다는 점도 아디다스 스마트런과 다른 점이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삼성전자 ‘갤럭시기어’
스마트 시계라면 ‘기능’보단 ‘경험’
최근 IT 업계는 마치 새로운 먹거리라도 찾은 것 마냥 스마트시계에 달려들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9월 첫 번째 스마트시계 ‘갤럭시기어’를 내놨다. 퀄컴도 삼성과 같은 날 ‘토크(Toq)’를 공개했다. 소니는 벌써 두 번째 스마트시계를 만들었다. 인텔과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도 스마트시계를 개발 중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갤럭시기어를 보는 사용자의 반응은 아직 냉담하다. 미국 IT 전문매체 벤처비트는 갤럭시기어를 가리켜 “끔찍한 기기”라고 평가했을 정도다. 판매도 시원찮은 모양이다. 국내 판매를 시작하고 보름이 넘었지만, 이동통신업체 대리점에서도 제품을 구경하기 어렵다. 소니와 퀄컴의 스마트시계를 보는 사용자의 반응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와 반대로 지난 2012년 출시된 나이키 퓨얼밴드는 아침에 달리기를 좋아하는 미국 사용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었다. 나이키는 150달러짜리 퓨얼밴드로 15억달러 매출을 올렸다. 이듬해인 2013년에는 미국 인터넷 IT 전문 매체 패스트컴퍼니가 발표한 ‘세계 50대 혁신기업’ 중 1위에 뽑히기도 했다. 스포츠 의류용품 업체에서 IT 서비스 업체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아디다스와 나이키의 스마트시계는 디지털 개인 트레이너다. 스마트시계와 비슷하지만, 기능은 단순하다. 오로지 운동을 하려는 이들을 위해 설계된 제품이다. 온전한 스마트시계로 분류하기는 어렵다.
퓨얼밴드와 스마트런이 갖춘 특징은 단순함과 간결함이다. 갤럭시기어가 12첩 반상이라면, 퓨얼밴드는 일품요리다. 먹다 지쳐 절반은 남겨야 하는 진수성찬이 아니라, 필요한 기능만 먹기 좋게 포장한 돈가스 정식이라는 얘기다.
폴 가우디오 아디다스 인터렉티브 총괄 부사장은 “우리는 가장 좋은 스마트시계를 개발하려고 하지 않았다”라며 “가장 좋은 러닝 시계를 만들고자 했다”라고 설명했다.
폴 가우디오 부사장의 말에서 스마트시계를 보는 업계의 시각 차이를 엿볼 수 있다. 좋은 하드웨어에 무수한 기능을 넣고자 하는 IT 제조업체와 패션·스포츠를 중심에 둔 업체 사이의 개발 DNA 차이 말이다. 스마트시계가 갖춰야 할 덕목은 기능이 아니라 경험이다. 삼성전자가 배워야 할 부분이다.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 나이키 ‘퓨얼밴드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