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네이버 ‘라인’, 일본서 페북 인기 제쳐”
미국 뉴욕타임스가 네이버 ‘라인’이 일본에서 페이스북과 구글보다 인기가 있다는 기사를 9월5일 공개했습니다. 이 기사가 알려지고 한국에선 주말 사이에 ‘NYT, 라인 일본서 페북과 구글 제쳐’란 얘기가 방송과 신문에 나왔습니다. 굳이 비교하자면, 이제 라인이 일본에서 카카오톡의 만큼의 위상을 갖게 됐다고 보면 되지 않을까요? SNS가 검색과 포털을 능가했다면, 모바일 메신저가 SNS를 넘어서겠지요. [관련기사 : The New York Times]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NSA, 스마트폰 감시 기술 있어
미 국가안보국의 불법사찰 범위는 어디까지인 걸까요. NSA가 인터넷을 통해 오고가는 e메일에 이 스마트폰을 오고가는 데이터도 거의 실시간에 가깝게 해킹한 것으로 알라졌습니다. 슈피겔은 자사가 입수한 NSA 활동 관련 문서를 통해 “NSA가 아이폰, 안드로이드, 블랙베리 등 다양한 스마트폰OS를 해킹해 스마트폰에 저장된 정보를 감시하고 있었다”라고 전했습니다. 일단 사찰 대상으로 정해지면 NSA의 추적을 따돌린 수 없다는 얘기지요. 진정한 빅브라더가 아닐까 싶네요. [관련기사 : Spiegel]
트위터, 태블릿 최적화 앱 내놓나
트위터가 안드로이드 태블릿 화면에 최적화된 앱을 출시할 것으로 보입니다. 독일서 열린 IFA 2013에서 구글 ‘넥서스7′ 화면 크기에 최적화된 트위터 앱이 공개됐습니다. 트위터가 정식으로 선보인 건 아니니 공개보다는 유출에 가까우려나요. 현장에서 뜬 넥서스7용 트위터 앱을 살펴보면, 화면 왼쪽엔 트윗 타임라인이, 오른쪽엔 트윗 내용이 표시됩니다. 1년전 트위터가 아이패드용 트위터 앱을 공개했을 때 보였던 사용자화면(UI)과 크게 다를 바 없군요. 아마 조만간 구글플레이에서 안드로이드 태블릿용 트위터 앱을 만나볼 수 있을 듯합니다. [관련기사 : The Verge]
인텔, 입는 컴퓨터 디자이너 잇따라 영입
인텔이 나이키와 오클리 등 스포츠 브랜드에서 입는 컴퓨터 전문가를 영입했다고 합니다. 나이키에서 ‘퓨얼밴드’를 디자인했던 스티브 홈즈와 오클리에서 ‘에어웨이브’를 만든 한스 모리츠 입니다. 퀄컴, 삼성, 구글이 입는 컴퓨터에 불을 당긴 이상 인텔에서도 곧 입는컴퓨터 제품이 등장할 모양입니다. [관련정보 : Intel Free Press]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SK플래닛, 사랑의 장기기증 운동 동참
SK플래닛의 모바일 지갑 서비스인 ‘스마트월렛’이 장기기증 운동에 나섰습니다. SK플래닛은 ‘장기기증의 날’을 맞아 9월9일 재단법인 ‘사랑의 장기기증 운동본부’와 제휴를 맺고 스마트월렛을 통해 장기기증 서약 진행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스마트월렛 추가→멤버십 메뉴에서 ‘사랑의 장기기증 등록증’을 선택하면 누구나 장기기증 등록절차에 대한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닛산, 운전자용 스마트 시계 내놓는다
스마트와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이제 막 시작되는 분위깁니다. 독일 프랑크프루트 모터쇼에서 일본 자동차회사 닛산이 스마트와치를 내 놓을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름은 ‘니스모’. 운전자의 상태와 운전 환경, 자동차의 상태, 운전하는 동안 달린 속도 등을 알려주는 운전자 전용 스마트와치 입니다. [관련기사 : VentureBeat]
[youtube id=”CGuqhLn_pGk” mode=”normal” align=”center”]
‘킷켓’ 다음 안드로이드는 ‘라두’로?
인도 개발자들 사이에서 재미있는 운동이 전개 중입니다. 이름하여 안드로이드 ‘라두'(Ladoo) 만들기 프로젝트. 라두는 설탕으로 만든 공 모양의 인도 전통 과자라고 합니다. 안드로이드가 ‘킷켓’을 이름으로 썼는데, 다음 안드로이드 ‘L’은 기필코 라두로 만들겠다는 의지를 엿볼 수 있습니다. 벌써 2100명의 인도 개발자가 이 프로젝트에 서명했습니다. [관련정보 : Android Ladoo Campaign]
[youtube id=”QLk9n3v2cEs” mode=”normal” align=”center”]
‘X박스 원’ 조작 화면, 윈도우8 닮았네
‘X박스 원’ 게임 콘솔을 조작하는 화면에 유출됐습니다. 유튜브에서 잭슨 카터라는 사람이 동영상을 찍어 올렸는데, 2분짜리 영상을 보면 윈도우8의 모던UI가 그대로 적용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아직 베타버전이라고 합니다. 이 동영상은 지금은 유튜브에서 삭제됐습니다. [관련기사 : Engadget]
야후, 국가별 정보 제공 내역 공개
야후도 정부가 사용자 데이터를 달라고 요구한 수치를 국가별로 9월6일 공개했습니다. 야후는 2013년 상반기 17개국 정부가 요청한 사용자 정보는 야후의 전체 사용자 수백만분의 1도 안 된다고 했는데요. 그 안에서 미국이 1위를 차지했습니다. 데이터를 달라고 요청한 게 1만2천건이 넘고, 특정 사용자를 지목해 그 사용자의 정보를 달라고 한 건 4만건이 넘습니다. 미국은 얼마 전 페이스북이 공개한 정부 투명성 보고서에서도 가장 많이 정보를 달라고 요구한 국가였습니다. [관련정보 : Yahoo Blog | 야후 투명성 보고서]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아마존이 제작중인 스마트폰은 공짜 폰?
아마존이 스마트폰을 만들고 있단 얘긴 모두 알 겁니다. 여기에 양념처럼 소문 하나가 더해졌습니다. 바로 스마트폰을 무료로 풀 거란 얘기입니다. 제시카레신닷컴은 아마존과 가까운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아마존이 소비자에게 스마트폰을 무료로 푸는 걸 고민한다고 9월6일 밝혔습니다. 이 얘길 이동통신회사와 나눴다고 했습니다. 마치 아마존이 전자책 단말기를 저가에 공급하고 전자책마저 싸게 팔며 전자책 시장을 공략한 것과 비슷해 보입니다. 아마존의 대변인은 제시카레신닷컴의 얘기에 올해 스마트폰을 출시할 계획이 없고, 스마트폰을 출시한다면 무료이진 않을 거라고 밝혔습니다. [관련정보 : Jessica Lessin]
MS, 아이패드용 ‘원노트’ 앱 판올림
아이패드용 MS ‘원노트’ 앱이 판올림됐습니다. 이전보다 문서를 새로 만들기 쉬워졌고, 스카이드라이브에 저장할 수 있는 문서도 바로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원노트 앱을 쓰려면 MS 계정이 있어야 하고, 스카이드라이브 프로와 동기화하려면 오피스365를 샀거나 쉐어포인트 계정이 있어야 합니다. [관련정보 : Microsoft Office Blog]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미 샌프란시스코, “벤처와 손잡고 시 문제 풀어보자”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는 IT 신생기업이 시의 문제를 풀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9월6일 발표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IT 신생기업이 시가 생각한대로 활동하면 1420억달러짜리 공공시장에 들어오게 되는 거라고도 강조했습니다. [관련정보 : San Francisco Entrepreneurship in Residence]
Image may be NSFW.
Clik here to view.
SKT, VoLTE 핸드오버 기술 공개
SK텔레콤이 패킷망과 서킷망 사이에서 VoLTE를 핸드오버로 넘나드는 기술을 발표했습니다. 서킷망은 속도는 느리지만 연결이 잘 끊어지지 않고 유지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속도는 빠르지만 트래픽에 따라 불안정할 수 있는 패킷망과 접목되면서 안정적으로 통화할 수 있게 될 듯합니다. 갤럭시S4와 갤럭시S4 LTE-A부터 적용된다고 합니다.
노키아, 6인치 윈도우폰 준비 중
노키아가 6인치 윈도우폰을 준비중입니다. ‘루미아 1520’으로 불리는 제품입니다. 윈도우폰에서 6인치의 큰 화면과 풀HD 해상도도 놀랍지만 스냅드래곤 800 프로세서와 2GB 메모리도 낯설어 보입니다. 사실 윈도우폰은 이렇게 좋은 하드웨어 없이도 충분히 매끄럽게 잘 돌아가지만, 소비자들이 구입 전에 스펙으로 제품을 비교 평가하는 환경에 대응하려면 한 번쯤 시도해볼 만합니다. [관련기사 : The Verge]
‘아이폰5S’ 포장 사진이라는데…
‘아이폰5S’의 패키지라고 주장하는 사진이 등장했습니다. 아이폰5C는 그래도 그럴싸했는데 이건 좀 가짜같은 느낌이 많이 납니다. 정면을 비춘 사진만 봐선 아이폰3GS 패키지 같군요. 홈 버튼 주변에 뭔가 약한 빛이 올라오는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관련기사 : Mashable]